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자바코드2

웹 개발 공부

by 이전중동직장인 2022. 7. 27. 08:54

본문

package chap02_Var;

public class variable {

	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		// TODO Auto-generated method stub
		int speed ; // 변수 선언
		long interertRate = 1; //변수 초기화
		int 반복횟수, loop2 ; // 변수 동시선언 
		
		speed = 10; //선언을 한 경우 변수이름에다가 값을 넣음
		반복횟수 = 2;
		loop2 = 20+2;
		
		//변수는 값을 할당 할 때, 마지막에 할당된 값이 들어간다. 
		speed = 0; //위에서는 10이었지만 0의 값을 넣어주었기 때문에 값이 0이 된다 
		
		//변수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이름만 작성한다
		
		System.out.println(speed);
		System.out.println(반복횟수);
		System.out.println(loop2);
		

		//실습 정수형 변수 선언 /초기화 하기
		//나이(26), 일자(10), 금액(5000), 개수(5), 점수(100)
		
		int age =26 ;
		byte date =10 ;
		int price =5000 ;
		int count =5;
		long score =100 ; 
		

		
		System.out.print("Age : ");
		System.out.println(age);
		System.out.print("Date : ");
		System.out.println(date);
		System.out.print("Price : ");
		System.out.println(price);
		System.out.print("Count : ");
		System.out.println(count);
		System.out.print("Score : ");
		System.out.println(score);
		
		
		
		
		//실습 빛이 지나간 거리가 9760800000000km 일때, 몇일 동안 지나갔는지 구하시오 
		//단 빛의 속도는 300000(km/s) 초속 (0의 개수 5개)
		//거리 = 속력x시간
		//시간 = 거리/속력
		//거리 = 9460800000000,. 속도 300000
		//system.out.println (거리/속도)
		
		
		long absement = 9760800000000L;
		long speed2 =300000L;
		
		System.out.println(absement/speed2);
		
		
		/* 실습 long 변수
		 * 빛이 들어간 거리와 속력  
		 */
		
		long distance =946080000000L; //long 에 값을 넣어줄때 int의 범위를 지난 값은 L을 붙여준다.
		long speedLignt = 30000L ; // 변수는 동일한 이름을 사용 할 수 없다.
		
		System.out.println((distance/speedLignt)/3600); //print메소드 안에 수식을 작성하면 계산하여 출력한다 
		
		/* 반지름이 10인 구의 부피를 구하라
		 * V=4/3.14*반지름의 3제곱 예시 lnt num = 10+10
		 */
		
		double volume = 4/3*3.14d ;
		double radius = 10*10*10D;
		
		System.out.println(volume*radius);
		
		
		//실수실습02 double
		//반지름이 10인 부피를 구하기
		
		double volume2 = 4/3 * 3.14 * 10 * 10 * 10 ; 
				System.out.println(volume2);
				// 3.14 값을 double 형에 할당 
				final double PI = 3.1415926535;
				System.out.println(PI);
		
		
	}

}

 

package chap03_operator;

public class Operator {

	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		// TODO Auto-generated method stub
		
		//연산자
		//산술연산자와 대입연산자 
		
		int x,y;
		x = 10;
		y = 3;
		
		System.out.println(x+y);
		System.out.println(x-y);
		System.out.println(x*y);
		System.out.println(x/y);  //int 끼리의 나눗셈은 int형으로 나온다 
		System.out.println(x%y);  //int 끼리의 나머지는 int형으로 나온다 

	//대입연산자 오른쪽의 식을 계산한 후에 변수에 대입
	// 계산식이 끝난 후의 값을 할당하기 때문에 int 값에서 double 형으로 변환만 하게된다. 
		
		double sum = x/y ;
		System.out.println(sum+"\n"+"\t" );
		
		
		//자료형 중 int 를 사용하여 변수 sum1 을 선언하고 10+20+30+40+50의 값을 할당 또는 초기화 하세요
		
		int sum1 = 10+20+30+40+50 ; 
		System.out.println(sum1);
		
		
		//자료형 중 int 를 사용하여 변수mult1 을 선언하고 10*20*30*40의 값을 할당 또는 초기화 하세요
		
		int multi1 = 10*20*30*40 ; 
		System.out.println(multi1);		
		
		
		//자료형 중 int 를 사용하여 변수 sum2 를 선언하고 10*(20+30)+40의 값을 할당 또는 초기화 하세요
		
		int sum2 = 10*(20+30)+40 ; 
		System.out.println(sum2);	
		
		
		int sp1,mult1, sp2 ; 
		sp1 = 10+20+30+40+50 ; 
		multi1 = 10*20*30*40 ;
		sp2 = 10*(20+30)+40 ;
		
		System.out.println(sp1);
		System.out.println(multi1);		
		System.out.println(sp2);	

	
		//int result, resultRest을 만들고 80/3, 80%3의 결과를 확인해보자
		//double resultDuble; 를 만들고 80.0/3.0의 결과를 확인해보자 
		
		//실습 산술 연산자2
		
		int result,resultRest;
		result=80/3 ;
		resultRest=80%3 ; 
		
		System.out.println(result); // 몫 26
		System.out.println(resultRest); // 나머지 2
		System.out.println(26*3+2); //80이 나오므로 계산 확인. 
		
		//나머지 연산자의 계산결과의 특징 %
		/*항상 정수 
		 *값의 범위가 정해져있다 (0~나누는 수)
		 */
		
		double resultDouble = 80.0/3.0 ; 
		System.out.println(resultDouble); //소수점 자리까지 나옴 
		
		// int x = 30.0/20+30-10*2
		// int x = 30/20+(30-10)*2
		
		
		//실습 연산자 결합규칙 
		
		System.out.println(30.0/20+30-10*2);
		System.out.println(30/20+(30-10)*2); // 괄호를 통해서 계산 순서가 바뀌었기 때문에 
		
		
		
		
		
		
		
	}

}

관계 연산자 - 입력값 두개

 

 

package operatorEx_01;

import java.util.Scanner;

public class OperatorEx_01 {

	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		// TODO Auto-generated method stub
// 5642초 > 몇분 몇초인지 확인 
		
		
		int m = 5642 /60; // 94분으로 60분이 넘었음 
		int s = 5642 % 60;
		int h = m/60;
		
		m %= 60; //60분이 넘었기 때문에 나머지 연산자를 사용해서 0~59분의 값을 얻기 위함. 
		
		
		System.out.println(h+"시 "+m+"분 "+s+"초");
		
		// Scanner를 통해서 입력받은 초를 분과 초로 출력하기 
		
		int inputNum=0; //사용자의 입력값
		Scanner input = new Scanner (System.in);
		System.out.println("Enter your Time : ");
		inputNum = input.nextInt();
		System.out.println((inputNum/60/60)+" Hour "+(inputNum/60)+" Mins "+(inputNum%60)+" Secs");
		
		
		
		// 두개의 값을 받아서 계산하기 몫과 나머지 출력하기 
		
		int input4=0;
		int input6=0;	
		

		Scanner input1 = new Scanner (System.in);
		System.out.println("Enter your first number : ");
		int num1 = input1.nextInt();

		System.out.println("Enter your next number (Cannot put number 0)");
		int num2 = input1.nextInt();

		int div = num1/num2 ;
		int rest = num1 % num2 ;
		System.out.println("몫 : "+div + " 나머지 : " + rest);
	    
	    
	    
		
	}
	

}

'웹 개발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자바 실습 - 체온을 입력 받아 위험 안내  (0) 2022.08.02
자바 - double 배열 초기화 / BTS 키 평균 구하기  (0) 2022.08.02
자바코드2  (0) 2022.07.27
자바코드01  (0) 2022.07.27
자바기초3  (0) 2022.07.27

관련글 더보기

댓글 영역